테크/기술

2023년에 와이파이 속도가 3배 빨라집니다, '와이파이7' 보급 전망

공부하는박대리 2022. 2. 1. 08:00

 

‘와이파이(WiFi) 7’ 이 이르면 2023년부터 보급 전망이라고 합니다. 현재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버전은 ‘와이파이(WiFi) 6’ 으로서 9.6Gbps 속도를 가지고 있으나, ‘와이파이 7’에서는 30Gbps 속도로 약 3배 이상 빨라진 버전입니다.

 

우리의 일상에 밀접한 기술이며, 생활을 보다 편리하게 바꿔줄 수도 있는 ‘와이파이(WiFi)’ 기술 그리고 그 일곱번째 버전에 대해 좀 더 알아볼까요?



#1. ‘와이파이(WiFi) 7’ 이란?

 

‘와이파이(WiFi)’는, 전자기기들이 무선랜에 연결할 수 있게 하는 기술입니다. 그리고 뒤에 붙는 숫자 7은 일곱번째 표준을 의미하는데, 즉 7번째 통신 서비스의 기술 및 속도 등이 적용된 와이파이 버전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2012년 완성된 ‘와이파이 5’ 속도는 3.5Gbps 였으며, 2019년부터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와이파이 6’의 속도는 9.6Gbps 였습니다. 내년에 도입될 ‘와이파이 7’의 속도는 30Gbps로서 현재 속도의 3배 수준인데, 신기술인 AR/VR 헤드셋, 8K TV, IoT 감시 카메라 등과 같은 네트워크 전송속도가 중요시되는 기술에서 활용도가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Gbps : 초당 얼마나 많은 양의 정보를 보낼 수 있는지를 나타내는 단위다. 1Gbps는 1초에 대략 10억 비트의 데이터를 보낼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2. ‘와이파이(Wifi)’ 의 역사

 

1997년 1월 네트워크 표준이 배포되면서 와이파이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시작 당시 최고 전송속도는 11Mbps 였으며, 기업이나 가정 등에 유선 네트워크를 대체하기 위한 목적으로 폭넓게 보급되기 시작했습니다. 공공장소 등에서 유/무상 서비스를 제공하기 시작한 시점도 이때부터라고 볼 수 있습니다.

 

2009년 9월에 ‘와이파이 4’로 명칭이 부여된 최대 600Mbps 전송속도의 와이파이가 보급되었습니다. 속도는 대폭 개선되었다는 평가였지만, 연결된 디바이스가 늘어날 수록 속도가 느려지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었습니다.

 

2012년 12월에는 ‘와이파이 5’ 규격이 발표되었습니다. 속도는 3.5Gbps 수준이었으며, 이때부터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비디오, 동영상의 스트리밍 서비스가 무선 와이파이를 통해 가능해졌습니다.

 

그로부터 7년 후 2019년 ‘와이파이 6’ 버전이 본격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했으며, 이때부터는 단순 네트워크 접속의 개념에서 업무용, 대고객 서비스용으로 활용이 본격화되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3. ‘와이파이(Wifi)’ 기술 전망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가속화하는 인프라의 한 축으로 자리매김한 와이파이는 지속적인 기술 발전과 5G에 버금가는 성능을 발휘하며 한 단계 도약하고 있습니다.

 

특히 클라우드, AI, 자동화 등 다양한 기술 및 서비스와 결합이 빨라지며 주도권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전망인데, 내년 ‘와이파이(Wifi) 7’ 도입으로 인해 무선 인터넷 세상이 어떻게 바뀔 수 있을지 기대되는 한편, 반도체 수급난 등의 해결해야할 과제도 동시에 고려하면 내년 인프라 구축에 대한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해 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