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혁신 사례 10

화상 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사례

화상 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사례 최근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비대면 보험 모집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고객을 직접 만나지 않고도 계약 체결이 가능한 화상 통화 보험 모집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 2년간 전 국민의 디지털 소비 이용률은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건강보험 가입자 중 비대면 보험 가입 의향을 보인 소비자 비중이 5명 중 4명 꼴로 높게 나타나는 가운데, 화상통화를 활용한 보험 모집이 2022년 모범규준 마련으로 활용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돼 보헙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국내 화상모집 모범규준은 당초 2021년 4분기에 마련될 예정이었으나, 화상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문제 해결 등 일부 방안의 보완을 위해 2022년으로 연기된 ..

독일의 디지털 전환 사례

독일의 디지털 전환 사례 독일은 유럽 국가들에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주요 국가중 하나입니다. 독일 정부의 'Digital Hub Initiative' 정책으로 실리콘 밸리를 겨냥한 디지털 허브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딥테크 분야에는 10년간 10억 유로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를 통해 독일이 디지털 혁신 전략에 집중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는 상황인데, 현재 유럽에서 혁신 문화를 대표하는 독일의 디지털화 사례를 살펴보면서 글로벌 트렌드를 살펴보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반델봇츠(Wandelbots) 반델봇츠는 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로봇조작용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코딩없이 로봇에게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2022 드론쇼 코리아 맛보기

2022 드론쇼 코리아 맛보기 올해 6회째를 맞이하는 드론쇼 코리아는 '드론, 산업을 연결하다(Connected By Drone)' 주제로 드론산업의 확장성에 주목하여,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간 융복합 사례를 소개하고 최신기술이 일상에 적용된 드론 모델들을 선보였습니다. '22년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드론쇼의 규모는, 137개사 533부스가 개설될 정도로 큰 규모였는데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드론쇼에서 소개된 드론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1) LIG 넥스원 - 수송, 정찰, 방어용 드론 KCD-200 수송드론은 수소에너지를 기반으로 비행하며, 200kg 이상 화물을 탑재 운송할 수 있습니다. 소형 정찰, 타격 복합형 드론은 정찰과 공격 임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구글도 참여한 초거대 AI 연합 'Expert AI Alliance'

구글도 참여한 초거대 AI 연합 'Expert AI Alliance' LG를 주축으로 구글, 우리은행, EBS 등 국내외 업종별 대표기업 12개사와 손잡고 글로벌 초거대 AI 생태계를 만들기 위한 'Expert AI Alliance'가 출범했습니다. 해당 연합에는 화학, 전자, 통신, 금융, 교육, 출판, 디지털 콘텐츠, 메타버스, 의료, 플랫폼화 등 초거대 AI 기술을 접목해 큰 시너지를 낼 수 있는 각 분야의 대표 회사들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연합체는 향후 LG의 초거대 AI '엑사원(EXAONE)'으로 실제 구현 가능한 사례들을 공유하고 연합 파트너사들과 함께 협업할 계획입니다. 1) '엑사원(EXAONE)' 이란? 엑사원(EXAONE)은 'Expert Ai for Everyone'의 축약어인데,..

국내외 소상공인 디지털 혁신 사례

국내외 소상공인 디지털 혁신 사례 코로나19 위기 극복을 위해 소상공인들에게도 비대면 방식과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요소가 되었습니다. 빠른속도로 디지털 전환에 익숙해지는 소비자들을 지켜만보며, 트렌드를 선점하는 대기업들에게 시장을 내주기보다는 운영 방식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입니다. 급격한 영업 환경 변화를 체감하고 있음에도 디지털 전환에 대한 인식은 부족한 상황이기 때문에 소상공인들의 디지털 전환을 통한 혁신 사례들을 널리알려 변화에 동참하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번 포스팅에서는 국내외 디지털 전환 및 혁신 사례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소상공인 디지털 전환 현황 현재 디지털 기술을 활용하고 있는 소상공인은 15.4%에 불과합니다. 활용되고 있는 기술은 대부분 온라인 쇼핑몰(2..

새로운 바이오 트렌드, 'RNA' 파헤치기

새로운 바이오 트렌드, 'RNA' 파헤치기 코로나19 이후로 RNA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코로나 백신으로 mRNA 기술이 활용되면서 많이 노출된 용어이기도 하고, 코로나 백신 확산을 기점으로 활용성이 검증되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동안에는 희귀질환에만 국한되어있던 RNA 기술들이 점차 만성질환까지 확대되는 추세이며, 우리의 영원한 숙제 항암분야와 뇌질환에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RNA 기술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1) RNA는 무엇인가요? RNA(Ribo Nucleic Acid)는 핵산의 일종으로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때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좀 더 쉽게 풀어보면,..

글로벌 금융회사의 '혁신랩'을 통한 디지털 전환 전략

글로벌 금융회사의 '혁신랩'을 통한 디지털 전환 전략 코로나19 이후로 비대면 문화 확산과 빅테크 금융산업 진입이 빠른속도로 확산함에 따라 금융권에서는 디지털 전환이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금융회사들은 디지털 전환을 위한 혁신 기술에 포커스를 맞추고 다양한 오픈 이노베이션 제도를 운영중에 있는데, 이를 '혁신랩(Innovation Lab)' 이라고 지칭하며 적극 도입하는 추세입니다. 글로벌 금융회사에서 확대하고 있는 디지털 전환 수단 '혁신랩' 전략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1) 금융회사의 혁신랩 운영 배경 A. 최근 금융업을 둘러싼 영업환경 변화는 전통적 금융회사에 위협요인으로 작용 A1. 카카오뱅크에 이어 토스뱅크가 출범하는 등 증권, 보험 등 타 금융업권도 Tech 기업의 진..

애플의 증강/가상현실 운영체제 '리얼리티OS(realityOS)'란?

애플의 증강/가상현실 운영체제 '리얼리티OS(realityOS)'란? '리얼리티OS'는 애플의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기기를 작동시키기 위한 새로운 운영체제 명칭입니다. 아이폰은 iOS, 아이패드는 iPadOS, 애플워치는 watchOS 처럼 각각의 제품을 운영하는 소프트웨어가 활용되는데, '리얼리티OS'는 애플의 AR/VR 기기 전용의 운영체제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물론 아직까지 애플에서 공개적으로 AR/VR 기기에 대한 개발 및 소프트웨어 관련 사항을 공식적으로 발표한적은 없었지만, 애플이 에어팟과 같은 차세대 애플 전용 기기로 확산시키기 위한 대규모 투자 및 인력 투입을 하고 있는 것은 이미 많이 알려진 사실입니다. 1) '리얼리티OS' 기반의 애플 헤드셋, 어떤 기능이 있을까? 공식적..

국내, 해외 RPA 혁신사례 및 기술에 대한 고찰

국내 및 해외 다수의 기업에서는 업무 자동화 솔루션인 RPA(Robotic Process Automation) 기술을 통해 디지털 혁신을 이뤄내고 있습니다. 대기업, 공공기관, 금융권 등 다양한 분야에서 RPA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업무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비용 절감을 달성했으며, 단순 반복업무를 제거해 직원들의 업무 만족도 또한 상당한 수준으로 높일 수 있었다고 하는데요. 이와같이 기술 혁신을 통한 긍정적인 효과도 있는 반면에, 자동화를 바탕으로 채용을 감축하겠다는 소식도 들려오고 있어 우려하는 목소리도 높아지는 상황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RPA 기술의 도입 효과는 어느정도인지, 사람을 대체하는 것이 가능한지, 국내외 사례를 통해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RPA 도입 사례 도입사례를 ..

구글에서 만든 코딩 자동화 혁신, '알파코드(AlphaCode)'

구글의 딥마인드가 인간 프로그래머 수준의 코딩 능력을 보유한 인공지능(AI) 시스템 ‘알파코드(AlphaCode)’를 공개했습니다. 초기 개발 단계에서 수준급 기능을 증명한 알파코드는 향후 코딩을 모르는 사람들의 코딩 요구까지 충족시켜줄 것으로 기대되는 기술로서 최근 이목을 집중시키기도 했습니다. 그렇다면, 자동으로 프로그램을 만들어주는 ‘알파코드’는 무엇인지, 이를 개발한 ‘딥마인드’는 어떤 회사인지 함께 알아볼까요? 1) 구글 '딥마인드(DeepMind)' 회사 개요 ◾ 소개 2010년 창립했으며 구글(알파벳)의 자회사이자 영국의 인공지능(AI) 프로그램 개발 회사입니다. 2014년 약 5억 달러에 구글에 매각됐으며, 구글의 인수 이후 20억달러 가까운 집중적인 투자를 받기도 했습니다. 한국의 바둑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