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 57

기획재정부의 핵심 사업,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기획재정부의 핵심 사업,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최근 본격적인 자율주행차의 상용화가 예고된 가운데, 이를 위한 교통 인프라인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기획재정부에서 핵심 사업으로 관리중이며, 국토교통부 및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서도 전국 구축을 추진중인 이 기술은 어떤건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란 무엇인가요? 차세대지능형교통체계(C-ITS, Cooperative-Intelligent Transport System)이란, 차량이 주행 중 운전자에게 주변 교통상황과 급정거, 낙하물 등의 사고 위험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이를 통해 V2V(자동차-자동차), V2I(자동차-인프라) 간 정보를 실시간으로 운전자에게..

테크/기술 2022.03.18

화상 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사례

화상 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사례 최근 디지털 경제의 확산으로 비대면 보험 모집의 중요성이 증가하면서, 고객을 직접 만나지 않고도 계약 체결이 가능한 화상 통화 보험 모집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지난 2년간 전 국민의 디지털 소비 이용률은 2배 가까이 증가했고, 건강보험 가입자 중 비대면 보험 가입 의향을 보인 소비자 비중이 5명 중 4명 꼴로 높게 나타나는 가운데, 화상통화를 활용한 보험 모집이 2022년 모범규준 마련으로 활용 가능해질 것으로 예상돼 보헙업계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상황인데요. 국내 화상모집 모범규준은 당초 2021년 4분기에 마련될 예정이었으나, 화상상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사생활 침해 문제 해결 등 일부 방안의 보완을 위해 2022년으로 연기된 ..

우크라이나 정부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DDoS) 공격이란?

우크라이나 정부 사이트를 마비시킨 디도스(DDoS) 공격이란? 디도스(DDoS) 공격에 대해 많이들 들어보셨을겁니다. 최근 러시아-우크라이나 분쟁중에도 우크라이나가 디도스 공격을 받아 정부와 은행사이트가 마비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는데요, 디도스 공격은 과연 무엇이고 어떤 영향이 있는지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1) 디도스(DDoS) 공격이란?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 공격이란 웹사이트 또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대상 시스템의 가용성과 합법적인 최종 사용자에게 악영향을 미치려는 악의적인 시도를 의미합니다. 공격을 하는 사람은 손상된 혹은 제어된 소스코드를 사용하여 공격함으로써 업무 방해와 같은 시스템 마비 문제를 발생시킵니다. 2) 어떤 공격방식인가요? 공격은 인프..

테크/기술 2022.03.14

소비자 기만? '게임최적화서비스(GOS)'란?

소비자 기만? '게임최적화서비스(GOS)란? 최근 삼성갤럭시S22 게임최적화서비스(GOS)에 대해 소비자 기만이라는 의견이 여러군데서 쏟아져나오고 있습니다. '게임최적화서비스(GOS)'는 무엇이며, 삼성갤럭시S22 관련 논란은 무엇인지 요약해서 살펴보겠습니다. 1) 게임최적화서비스(GOS)란? 고성능 게임과 같이 스마트폰의 높은 컴퓨팅 자원을 요구하는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제공하기 위해 삼성전자가 갤럭시 스마트폰에 탑재한 시스템 소프웨어로서, Game Optimizing Service의 약자입니다. 2) GOS 서비스 원리 스마트폰의 발열 관리는 SW를 활용해 일부 발열에 영향을 주는 일부 성능을 제한하는 방식과 발열판과 냉각제 등 하드웨어를 활용하는 방식 두가지로 분류됩니다. GOS는 SW 해당하는 방식..

테크/기술 2022.03.09

우리 생활에 이미 녹아들어 있는 '음성합성 기술'

우리 생활에 이미 녹아들어 있는 '음성합성 기술' 요즘에는 AI 스피커가 중요 뉴스와 날씨를 알려주기도 하고, 필요한 정보를 대신 검색해서 알려주기도 합니다. 이와 같은 AI 스피커에 사용된 기술은 음성합성 기술인데요, 음성합성 기술이란 개인이 말할때의 목소리 음파를 기계가 자동으로 완성시켜 만들어주는 기술을 뜻합니다. 우리 생활에서 흔히 찾아볼 수 있는 지하철, 버스 정류장의 안내방송은 물론 ATM 기기와 ARS 음성이 모두 음성합성 기술로 구현해 낸 목소리인것을 보면 이미 주변에 녹아들어 있던 기술이라고 볼 수 있겠네요. 최근 음성합성 기술을 활용한 사례, 컨텐츠 등이 많이 늘어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음성합성 기술의 현재 그리고 전망에 대해 함께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음..

테크/기술 2022.03.08

MZ 소비문화에서 탄생한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

MZ 소비문화에서 탄생한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 꼭 필요하거나 사고 싶은 물건이 있는데, 돈이 모자랐던 적이 있으실겁니다. 그럴때 어떻게 대처하셨나요? 대부분 구매를 단념하거나, 신용카드를 통해 할부로 수수료를 내며 제품을 구매하셨을거에요. 그런데 최근 새로운 결제방법이 떠오르고 있습니다. 바로 'BNPL(Buy Now, Pay Later)' 서비스입니다. 1) BNPL 이란? BNPL은 Buy Now, Pay Later의 약자로서, 선구매 후지불을 뜻하는 말입니다. 당장 소비에 사용할 현금이 없어도 물건을 우선 사고 나중에 결제하는 서비스 산업인데, 현재 이커머스 확산 속도에 맞춰 글로벌 경제시장의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습니다. 신용카드와 차이가 크지 않은 서비스인데, 주된..

테크/산업 2022.03.07

[2022.2월 ETRI 신기술] 재난현장에서 사람 찾는 레이더센서 외 2건

[2022.2월 ETRI 신기술] 재난현장에서 사람 찾는 레이더센서 외 2건 우리나라의 디지털 전환을 이끌어나가고 있는 정부부처중 하나인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22' 2월 발표한 신기술 3건을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화재 등의 재난 현장에서 사람을 신속히 찾는 레이더 센서 기술 재난현장은 대부분 어둡고, 때로는 화재현장의 연기, 분진등으로 인해 효율적인 인명구조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이러한 현장 구조의 제한을 극복하기 위해 재난현장에서 소방대원의 헬멧이나 휴대하는 기기 형태를 개선하여 시야 한계를 극복하고 피해자의 호흡과 심장박동 등 생체신호를 탐지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개선에 사용된 인명탐지 시스템은 두가지 방식의 레이더 센서 반도체인데, 그 중 하나는 임펄스 무선 초광대역(I..

테크/기술 2022.03.06

세계최대의 모바일 박람회 MWC 2022 맛보기

세계최대의 모바일 박람회 MWC 2022 맛보기 지상 최대 이동통신 전시회 MWC(Mobile World Congress)가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막을 올렸습니다. 'Connectivity Unleashed (연결성의 촉발)'을 주제로 하는 MWC 2022는 코로나 대유행 속에서도 2/28~3/3일까지 나흘간 온/오프라인으로 개최되는데, 세계 155개국에서 1천500곳이 넘는기업이 참가한 MWC 2022에서 5세대 이동통신(5G), 사물인터넷(IoT), 인공지능(AI) 등 모바일 분야의 신기술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좋은 기회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MWC에서 공개중인 모든 혁신 기술들을 담지는 못했지만, 국내 기업을 포함한 주요 해외기업의 기술들 몇가지를 맛보기로 소개해보겠습니다. 1) KT '디지코..

테크/산업 2022.03.02

독일의 디지털 전환 사례

독일의 디지털 전환 사례 독일은 유럽 국가들에서 디지털 전환을 주도하는 주요 국가중 하나입니다. 독일 정부의 'Digital Hub Initiative' 정책으로 실리콘 밸리를 겨냥한 디지털 허브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딥테크 분야에는 10년간 10억 유로의 자금을 투입하는 것을 발표하기도 했는데, 이를 통해 독일이 디지털 혁신 전략에 집중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처럼 전세계적으로 디지털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잡는 상황인데, 현재 유럽에서 혁신 문화를 대표하는 독일의 디지털화 사례를 살펴보면서 글로벌 트렌드를 살펴보는 기회를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1) 반델봇츠(Wandelbots) 반델봇츠는 코드를 필요로 하지 않는 로봇조작용 소프트웨어 회사입니다. 코딩없이 로봇에게 기술을 가르칠 수 있는..

2022년 10대 정부 기술 트렌드 by Gartner

2022년 10대 정부 기술 트렌드 by Gartner 글로벌 컨설팅 기업 Gartner 에서는 2022년 정부 기술 트렌드 10가지를 발표했습니다. 공공기관 리더들이 디지털 전환을 주도해야하는 책임을 강조하며, 정부 차원에서 추진해야하는 기술 트렌드 중심으로 10가지를 선별했다고 하는데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함께 살펴보시죠. 1) Composable Government Enterprise (복합 정부 기업) 2024년까지 정부 주도의 RFP* 25% 이상은 복합적인 기능을 요구하는 솔루션을 필요로 하게 될 것입니다. 복합적인 기능은 시민 중심 서비스로서, 비즈니스 아키텍쳐, 기술 및 사고의 3가지 영역을 의미하는데, 이러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정부는 모듈성과 현대적 설계 원칙을 고려해야 합니다. ※..

테크/기술 2022.02.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