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여러 나라에서 노동력 수급에 대한 문제가 심각한 수준이며, 이로인해 로봇의 힘을 빌려 노동력을 대체하는 기업이 급속도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이중에서 특히 물류와 관련된 분야는 큰 규모로 노동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적용효과가 높은 물류 로봇 관련 시장 확장이 빠르게 일어나고 있습니다.
물류 로봇은 공장, 물류센터 등에서 포장/분류/적재 및 이송 과정에 활용되는 로봇을 의미하는데, 구체적으로 물류 로봇에는 어떤것들이 있는지 국내/해외 사례들과 전망까지 살펴보겠습니다.
1) 물류 로봇의 분류
- 보관 로봇 : 유통창고용 자동 저장 및 회수 로봇, AS/RS(Automated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 분류 로봇 : 다양한 종류의 화물을 용도, 목적에 맞게 분류하는 로봇
- 픽업 및 적재용 로봇 : 물건을 픽업해 적재하거나, 선반에 있는 물건을 작업대로 옮기는 로봇
- 검수 및 포장 로봇 : 화물이 제대로 운반되었는지 확인하고, 송장 라벨링 등의 포장을 돕는 로봇
- 무인 운반 로봇 : 지정된 장소로 물건을 이동하는 로봇, AGV(Automated Guided Vehicle)
2) 물류 로봇 활용 기업 사례
- 한국의 '쿠팡(Coupang)'
쿠팡은 물류 로봇을 활용한 자동화 설비와 기술에 5000억원 이상의 비용을 투자했다. 직원들의 PDA는 최적의 경로를 제안해 작업자들이 이동 거리와 작업량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이후 주문된 물건을 배송하기 위한 작업에 로봇이 등장한다. 로봇은 선반에 보관 중인 물건을 직접 픽업해 바닥에 있는 바코드를 읽으며 포장 및 송장을 붙이기 위한 작업대까지 옮겨주고, 부피가 큰 물건의 경우 기계가 자동으로 송장을 붙여준다. 작업이 끝난 물품은 레이저 터널을 지나며 스캔된 후 지역별로 자동 분류되어 이동한다.
- 미국의 '아마존(Amazon)'
아마존은 2012년에 물류 로봇 스타트업인 키바 시스템즈를 인수했으며, 키바 로봇은 최대 400kg의 물건을 싣고, 시속 4.8km 주행이 가능하다. 바닥의 바코드를 따라 이동하게 되는데, 직원이 센터를 돌아다닐 필요가 없어 피로가 줄고 다른 업무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업무 효율성이 증가되었다.
- 미국의 '페덱스(FedEx)'
페덱스는 자율주행 배송로봇 록소(ROXO)를 2021년 7월 일본에서 최초 공개했으며, 록소는 인도 위 도로변을 따라 이동하도록 설계된 자율 배송 특화 로봇이다. 아울러 보행자 안전 기술과 다중 카메라 및 라이다(LiDAR)가 탑재돼 주변 환경을 인식할 수 있다.
3) 물류 로봇 시장 전망
최근 전세계적인 비대면 문화의 확산에 따른 물동량 증가, 인건비 상승 부담 등을 고려하면 물류 자동화 시스템에 대한 수요와 맞물려 물류 로봇 도입율은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는데, 조사기관 RESEARCH AND MARKETS에서는 물류 로봇시장 규모가 2021년 22억달러(약2.8조원) 시장에서, 2026년 102억달러(약12조원) 수준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국제로봇협회(IFR, International Federation Robotics)에서는 전세계적으로 물류 로봇이 2021년 16만대 수준에서, 2023년 26만대 판매대수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치를 발표했습니다.
물류 로봇 시장을 연간 27% 성장할것으로 예측한 배경을 살펴보면, 첫번째로 코로나19로 인해 비대면 물류 이동 기술이 주목받으면서 글로벌 물류 업체들의 물류 로봇 전환과 물류 로봇 업체 인수합병 확대를 추진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두번째로는 인건비의 절감 측면 때문인데, 노동인구의 감소와 고령화로 인해 물류작업 인력의 확보가 어려워졌고, 특히 코로나19 영향으로 외국인 입국이 제한되면서 외국인 근로자로 창출되던 인력 수급이 어려워졌기 때문에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물류 로봇을 적극 활용하고 있습니다. 세번째로는 물류시간 단축입니다. 물류 로봇을 통해 규칙적이고 오차를 최소화하는 업무수행이 가능해졌으며, 아마존 사례를 보면 물류 로봇 키바를 통해 60~75분의 물류 속도를 15분으로 단축 가능했습니다.
물류 로봇을 도입함으로써 개선 효과는 분명 뚜렷합니다. 하지만, 도입 전에 반드시 고려해야 하는 부분도 있습니다. 먼저, 물류 로봇의 경제성입니다. 물류 로봇을 도입하는데 초기 도입 비용이 상당히 크며, 한번 도입하면 바꾸기 쉽지 않기 때문에 도입효과를 충분히 검토해야합니다. 또한, 안전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화물의 크기/무게/특성 등이 제각기 다르기 때문에 현재의 기술로는 물류 로봇을 통해 100% 자동화하는 관리가 어렵습니다. 이 때문에 작업자와의 공존이 반드시 필요하게 되는데, 작업자와 부딪치거나 방해하는 일이 없어야하며, 작업자가 조작하기 쉽도록 설계하고 소프트웨어를 구성해야하는 점도 필히 고려해야하는 부분입니다.
'테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라이빗/퍼블릭/하이브리드/멀티 클라우드 차이 및 개념 (0) | 2022.02.14 |
---|---|
15분 배달, '퀵커머스(Quick Commerce)' 들어보셨나요? (0) | 2022.02.13 |
2022 리테일(소매업) 트렌드 by Forbes (0) | 2022.02.09 |
의료 서비스의 퀄리티를 높여주는, '의료 로봇(Medical Robot)' 전망 (0) | 2022.02.08 |
썩는 플라스틱, '바이오플라스틱(Bioplastic)'이란? (0) | 2022.02.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