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 드론쇼 코리아 맛보기
올해 6회째를 맞이하는 드론쇼 코리아는 '드론, 산업을 연결하다(Connected By Drone)' 주제로 드론산업의 확장성에 주목하여, 드론으로 구현될 산업간 융복합 사례를 소개하고 최신기술이 일상에 적용된 드론 모델들을 선보였습니다.
'22년 2월 24일부터 26일까지 진행된 드론쇼의 규모는, 137개사 533부스가 개설될 정도로 큰 규모였는데요.
역대 최대 규모로 개최되는 드론쇼에서 소개된 드론들에는 어떤 것들이 있었는지 함께 알아볼까요?
1) LIG 넥스원 - 수송, 정찰, 방어용 드론
KCD-200 수송드론은 수소에너지를 기반으로 비행하며, 200kg 이상 화물을 탑재 운송할 수 있습니다. 소형 정찰, 타격 복합형 드론은 정찰과 공격 임무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드론이며, 주야간 감시정찰, 표적좌표 획득 기능을 갖췄습니다. 다목적 무인헬기는 감시정찰, 통신중계, 물자수송, 화생방 오염제독, 지뢰탐지 등 다양한 임무에 활용될 수 있습니다.
2) 대한항공 - 중고도 무인기, 정찰용 무인기, 다목적 하이브리드 드론 등
대한항공은 전시회 참여 기업 중 가장 큰 규모로 참가했습니다. 민간항공기 크기의 중고도 무인기 실기체와 수직이착륙형 정찰용 무인기, 다목적 하이브리드 드론, 인스펙션 드론은 물론 도시교통 솔루션인 도심항공 모빌리티(UAM)을 전시했습니다.
3) SKT - T라이브캐스터 본드
T라이브캐스터 본드는 최대 5개의 모뎀을 장착해 다수의 이동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는 미션컴퓨터입니다. SKT에 따르면 드론 미션컴퓨터가 다수의 이동통신망을 동시에 사용하도록 하는 기술은 세계 최초로 픽스호크 드론에 탑재해 관제센터와 안정적인 영상 전송이 가능하다고 합니다.
4) 숨비 - PAV(Personal Air Vehicle, 개인용 비행체)
숨비는 단독 부스를 꾸려 차세대 교통수단으로 각광받는 개인용 비행체(PAV) 실물 기체와 재난재해 현장에서 드론을 실시간으로 관제하는 차량형 통합관제 시스템(DMS)를 선보였습니다. 숨비 PAV는 축간 거리 4m, 높이 2.5m로 60분 이상 비행이 가능하도록 설계됐습니다. 수년간 자체 연구개발한 PAV 제어와 운용에 핵심적인 기술인 '비행제어모듈(FCM)과 연결제어모듈(LCM)을 탑재했습니다.
5)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군단 정찰용 무인기
KAI는 틸트로터 형상의 수직이착륙무인기와 차기군단 무인기, 무인전투기 외에 유무인 복합편대 운용 개념과 메타버스 훈련체계 등 무인기 시장 선점을 위한 미래지향적 통합 솔루션을 선보였습니다.
6) 밀리버스 - 밀리터리 메타버스
밀리버스는 기존의 디지털 부동산 플랫폼과 차별화된 특징으로 디지털 부동산에 더해 디지털 무기와 디지털 영웅을 구매하고 거래할 수 있는 플랫폼을 선보였습니다. 밀리버스는 전세계 군인과 경찰, 소방관, 의사, 간호사를 대상으로 근속 개월에 비례하여 디지털 부동산을 무료로 제공할 계획입니다.
7) LX공사 - 3차원 지형정보 서비스
LX한국국토부정보공사는 도심항공교통(UAM) 핵심기반인 3차원 지형정보 제작기술을 소개했습니다.
이외에도 2022 드론쇼 코리아에서는 제조(드론, 군수, 측량, 매핑, 소방, 스테이션, 레저), 활용산업(촬영, 방제, 공간정보, 재난관리, 보안, 정찰, 물류건설, 심해탐사), 부품 및 기술(통신, 지상관제, 자율비행, 시스템 및 S/W 기술, 부품), 서비스(교육 서비스, 금융 서비스, 투자 컨설팅) 등과 관련된 최신기술을 공유하기 위한 전시를 진행했는데요. 좀 더 자세한 내용을 확인하려면 아래 공식 사이트를 참고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https://www.droneshowkorea.com/main/main.php
'테크 > 혁신 사례'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화상 통화를 활용한 비대면 보험 모집 사례 (0) | 2022.03.16 |
---|---|
독일의 디지털 전환 사례 (0) | 2022.03.01 |
구글도 참여한 초거대 AI 연합 'Expert AI Alliance' (0) | 2022.02.23 |
국내외 소상공인 디지털 혁신 사례 (0) | 2022.02.21 |
새로운 바이오 트렌드, 'RNA' 파헤치기 (0) | 2022.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