테크/혁신 사례

새로운 바이오 트렌드, 'RNA' 파헤치기

공부하는박대리 2022. 2. 20. 19:32

새로운 바이오 트렌드, 'RNA' 파헤치기

 

코로나19 이후로 RNA에 대해 한번쯤은 들어보셨을거라고 생각됩니다. 코로나 백신으로 mRNA 기술이 활용되면서 많이 노출된 용어이기도 하고, 코로나 백신 확산을 기점으로 활용성이 검증되어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는 기술이기도 합니다.

 

그동안에는 희귀질환에만 국한되어있던 RNA 기술들이 점차 만성질환까지 확대되는 추세이며, 우리의 영원한 숙제 항암분야와 뇌질환에도 활발한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에 더욱 주목을 받고 있는 RNA 기술에 대해 함께 알아볼까요?

 

 

1) RNA는 무엇인가요?

 

RNA(Ribo Nucleic Acid)는 핵산의 일종으로 유전정보에 따라 필요한 단백질을 합성할때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라고 정의되어 있습니다.

 

좀 더 쉽게 풀어보면, DNA와의 관계를 통해 설명할 수 있습니다. 아시다시피 DNA는 우리에게 친숙한 용어입니다. 유전적 정보를 담고 있는 세포인데요. RNA는 이러한 DNA를 복사해 오거나, DNA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재료를 가져오는 운반체 역할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RNA와 DNA 비교 - 출처.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2) RNA의 종류 및 역할

 

우리가 잘 알고있는 화이나, 모더나에서 코로나19 백신으로 활용한 기술이 바로 mRNA 기술입니다. 지금까지의 백신은 독성을 좀 줄인 바이러스를 넣는 생백신이나 죽은 바이러스를 넣는 사백신을 넣어 항체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방법이었지만, mRNA는 바이러스 단백질을 만들도록 유도하는 설계도를 넣어 항체가 만들어지도록 하는 방법입니다.

 

이 밖에도 RNA는 여러 종류들이 있으며 종류마다 각기 다른 역할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성들을 활용해 치료제 생산 관련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RNA의 종류 및 역할 - 출처. Bioinformatics,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3) RNA 시장 현황 및 전망

 

사실 코로나19 이전부터 바이오의약품 시장의 성장과 더불어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그리고 RNA 테라피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증가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나 코로나19 이후로 RNA 기술을 활용한 백신이 개발되면서 관련 산업이 크게 주목받게 되었고 2021년에는 15가지의 RNA 기반의 치료제, 약물이 승인받게 되었습니다. 과거 수십년동안 계속되었던 RNA 기반의 파이프라인들이 하나둘씩 승인 받고 있는 동시에 RNA 기반의 파이프라인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신기술의 등장으로, 또 RNA 기술이 접목된 치료제의 상용화로 기술의 유효성이 확보되었으며 치료제로서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RNA 치료제 시장 - 출처. Globaldata, 이베스트투자증권 리서치센터

 

세계 임상시험 정보를 참조할 수 있는 ClinicalTrials.gov에서 mRNA를 검색한 결과 1990건의 임상시험이 진행중이며, mRNA 백신은 총 289건 임상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등장이전까지 mRNA는 암 위주의 임상이 가장 활발히 개발중에 있었으며, 2020년 이후 코로나 바이러스와 같은 감염병 위주의 임상시험이 중점이 되었습니다.

 

이처럼 코로나19로 인해 바이오/의료에 대한 투자와 관심이 급증하고 있으며, 그로 인한 각국의 정책과 정부의 지원 또한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또한 코로나19 백신을 계기로 현금이 쌓인 기업들 (화이자, 모더나 등)은 신성장동력을 찾기에 한창인데, 우리는 코로나19를 기점으로 감염병과 바이러스 기반의 인플루엔자는 물론 개인맞춤형 백신에 대한 활발한 투자에 주목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