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이커머스(E-Commerce)’ 란 무엇일까요?
‘이커머스(E-Commerce)’는 전자상거래(Electronic Commerce) 약자로 온라인 네트워크를 통해 상품과 서비스를 사고 파는 것을 말하며, 전자 비즈니스(E-Business)의 한 부분으로서 인터넷이나 네트워크, 다른 디지털 기술들을 이용해 전자적으로 제품이나 서비스를 사고 파는 것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조금 더 자세한 의미에서 살펴보면, 전자상거래는 소비자와의 거래뿐만 아니라 거래와 관련된 공급자, 금융기관, 정부기관, 운송기관 등과 같이 거래에 관련되는 모든 기관과의 관련행위를 포함한다고 설명할 수 있습니다.
#2. ‘이커머스(E-Commerce)’ 시장 성장배경 및 전망
최초 이커머스 시장의 성장을 가능하게 한 것은 스마트폰의 보급입니다. 스마트폰으로 인터넷 접근이 용이해지면서 이커머스 시장이 개화되고 이를 통한 모바일 결제가 늘어났으며, 스마트폰 유저 수는 2016년 36억명에서 2021년 64억명으로 28억명 증가한 수준에, 스마트폰 침투율도 49.3%에서 78.1%까지 상승했습니다.
스마트폰이 보급되는 속도와 모바일의 결제 편의성을 고려하면 향후 이커머스 시장이 꾸준히 증가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를 반영하듯, 미국에서의 인당 모바일 결제는 2018년 1,447달러 수준에서 2025년 4,064달러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또한, 소비 시장에서 이커머스가 차지하는 비중은 빠르게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이동제한 조치가 변화를 가속화했는데, 2019년 전년동기대비 20.2% 성장했던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이 2020년 27.6% 성장한 것에서 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20년 눈에 띄는 증가를 보였음에도 글로벌 이커머스 시장은 2021년에 14.3% 성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이에 기반해 이커머스 시장 규모는 2024년 6.4조 달러까지 늘어날 것으로 전문가들은 예상하고 있습니다.
#3. ‘이커머스(E-Commerce)’ 성장 전략
네이버의 ‘이커머스(E-Commerce)’ 성장 전략을 살펴보면, 국내외 업체들이 이커머스 시장에서의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현재 집중하고 있으며, 전략으로 집중 추진하는 분야를 알 수 있습니다.
1) 스마트스토어 및 브랜드스토어 전략
판매자를 위한 스마트스토어, 브랜드스토어와 같은 스토어 솔루션을 제공하고, 신제품 개발을 지원하는 머천트 솔루션을 발굴 (향후 제공할 머천트솔루션에는 ‘AI 기획전’, ‘AI 타겟 마케팅’, ‘브랜드 평판 분석’ 등이 있음)
2) 소비자 구매 방식 확대
라이브커머스, 명품 판매, 구독형 렌탈 서비스, 네이버 멤버십 강화를 통해 소비자가 구매할 수 있는 방법과 만족도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도록 전략 구성
3) 물류 전략
네이버 커머스에 등록된 상품 수만 1.6억개로 빠른 배송외에 다양한 물류 서비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빠른 배송을 위해 CJ대한통운과 진행한 풀필먼트 서비스는 익일 도착률 99% 검증까지 완료한 상태
또한, CJ대한통운의 물류 역량과 네이버 AI 기술을 결합해 친환경 메가물류센터 구축 협의를 진행
위의 3가지 성장 전략을 통해 판매자를 위한 솔루션을 발전시키고,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며, 빠른 배송을 통한 서비스의 만족도를 높이는 방법은 이커머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핵심적인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테크 > 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빌리티(Mobility)'란? (모빌리티 개념, 전망) (0) | 2022.01.22 |
---|---|
2022년 10대 IT기술 (feat. ETRI, 한국전자통신연구원) (0) | 2022.01.22 |
정부에서 1조 4천억을 투자하는 이 기술은?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0) | 2022.01.19 |
P2E(Play to Earn) 개념 및 전망 (0) | 2022.01.18 |
스테이킹(Staking)이 뭐에요? (코인 배당시대) (1) | 2022.01.17 |